웹개발(31)
-
[node.js] Error: listen EADDRINUSE: address already in use :::3000
Node.js로 웹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하던 중 Error: listen EADDRINUSE: address already in use :::3000 라는 에러가 VSCode 터미널에서 발생하였다. 이는 포트 충돌로 인한 문제이다. 현재 300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미 3000번 포트가 사용중이라고 해서 포트 충돌이 난 것이다. 해결 방법은 간단하다. 노드에서 터미널 목록을 보면 powershell,cmd,node 터미널 까지 있었다. 나 같은 경우에는 node 터미널을 터미널 리스트에서 삭제해주고 다시 터미널 명령어 치는 부분에서 node app.js를 해주니 정상적으로 코드가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22.01.27 -
Node.js와 Express와의 관계 + Node.js의 차세대 웹프레임워크 Koa
Node.js를 사용하던 중에 Express 라는 모듈을 VSCode에서 설치해서 사용하게 되었는데요, Node.js와 Express와의 관계가 궁금해졌습니다. https://expressjs.com/ko/ Express - Node.js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Node.js를 위한 빠르고 개방적인 간결한 웹 프레임워크 $ npm install express --save expressjs.com Express는 Node.js의 웹 프레임워크입니다. Node.js는 크롬의 V8엔진을 이용하여 자바스크립트로 브라우저가 아니고 서버를 구축하고, 서버에서 자바스크립트가 작동되도록 해주는 런타임 플랫폼입니다. Express는 이런 Node.js의 원칙과 방법을 이용하여 웹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프레임워크입..
2022.01.26 -
Callback 함수에 관하여 (with.JS Hoisting)
콜백함수의 정의 (요약하자면, 함수들의 체인관계..?) 1. 파라미터로 함수를 전달하는 함수 2. 파라미터로 함수를 전달받아 함수의 내부에서 실행하는 함수 (함수의 내부에서 실행되기 떄문에 이름을 붙이지 않아도 되는 익명함수) 3. 나중에 호출되는 함수 (코드를 통해 명시적으로 호출되는 함수 X, 개발자는 단지 함수를 등록하기만 하고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거나 특정 시점에 도달했을 때 시스템에서 호출하는 함수) JS에서 이벤트 핸들러 처리도 콜백함수의 예제이다 버튼1 button1_click()함수는 브라우저의 JS API에서 DOM 이벤트 핸들러에 전달(등록)되고, 해당 버튼에 클릭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이벤트 핸들러가 콜백함수를 호출한다. 또 다른 예시로, 이전에 유행 밈이였던 '깡'을 주제로 한 재미난..
2022.01.25 -
npm 활용해보기 (with ulglify-js)
https://www.npmjs.com/ npm Bring the best of open source to you, your team, and your company Relied upon by more than 11 million developers worldwide, npm is committed to making JavaScript development elegant, productive, and safe. The free npm Registry has become the center of Java www.npmjs.com npm은 Node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Node.js에서의 앱스토어와 같은 역할이다. npm 페이지 내의 search 기능을 통하여 다양한 npm을 찾을 수 있다...
2022.01.24 -
[Node.js] 공식 홈페이지에 나온 코드 이해해보기
안녕하세요 brandy 입니다 :) 이번 일주일동안(22.1.24~22.1.28)까지 node.js를 활용한 간단한 웹앱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그러기 전에 node.js에서 제공하는 코드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넘어가고자 해서 해당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hostname = '127.0.0.1'; const port = 3000;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statusCode = 200; res.setHeader('Content-Type', 'text/plain'); res.end('Hello World'); }); server.listen(port,..
2022.01.24 -
[node.js] 환경변수 설치는 잘 되어있는데..? node.js 실행 안됨(터미널 문제)
안녕하세요. brandy입니다. node.js를 활용한 웹어플리케이션 제작을 하기 위해 VSCode에 node.js를 설치하고 터미널에서 실행 결과를 확인하려던 중에 node : 'node' 용어가 cmdlet, 함수, 스크립트 파일 또는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이름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름이 정확한지 확인하고 경로가 포함된 경우 경로가 올바른지 검증한 다음 다시 시도하십시오. 위치 줄:1 문자:1 라는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제가 확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cmd에서 node.js 잘 설치되어있나 확인하기 2) 환경변수에서 node.js의 path가 잘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모두 설치가 잘 되어있었다. 알고보니, 터미널이 'PowerShell'로 설정이 되어 있어서 위와 같은 오류가..
2022.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