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2)
-
연필 개수 세기
내 사고과정 그림이 더러워서 죄송합니다.. 일단 입력값에서 12의 배수는 그대로 학생수/12해서 다스 값을 리턴해주면 된다고 생각했고, 12의 배수가 아니면 학생수/12 한 값에서 +1 해주면 해당 다스 값이 나온다고 생각을 했었다. 내가 나름대로 짜본 코드는 아래와 같다. 그런데 콘솔에 값을 입력하면 내가 입력한 값이 그대로 리턴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시도해본 방법 1) function solution(student) function 바깥에 console.log(99); 테스트 케이스 작성 했는데도 내가 입력한 student의 값이 그대로 리턴된다.. > 이 부분은 질문을 드린 상태이다. 수정 코드 Math.ceil(값)을 이용할지는 생각도 못했다. 소수점 자리를 반올림해서 값을 리턴해준다. Math...
2022.02.04 -
삼각형 판별하기
'삼각형 판별하기' 알고리즘 문제를 풀었다. 그런데 내가 너무 쉽다고 간과한 것 같다. 내가 간과했던 부분은 아래와 같다. 1. 삼각형의 세 변 중에서 밑 변이 제일 길고, 나머지 짧은 두 변의 합이 제일 긴 밑변 보다 길어야 한다. 2. 밑에 console.log가 세 변 길이를 테스트 해 볼 수 있는 코드다. 3,7,11의 경우 11인 c가 max값이 되었다. 그래서 3+7c 이므로 크롬 콘솔창에 F12가 출력된다. 이번 코드는 변수를 var을 사용해봤는데, 앞으로 다양한 변수들을 사용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 자바스크립트 변수 var,let,const 차이점 https://heinafantasy.com/153
2022.02.04 -
'암호화폐 혁명,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읽고
이 책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비교에 중점을 둔 책이다. 작가의 생각보다는 이더리움의 과거와 현 상황에 집중한 책이므로 내가 알게된 내용을 중심으로 이번 포스팅을 작성해보고자 한다. 1. 블록체인은 금융 이외에도 수많은 분야에 적용될 것이라고 슈밥은 예측했다. 출생/사망신고,의료기록 등 국가,단체,개인이 관계하는 모든 것들이 블록체인에 자리 잡을 것이다. 2. 내가 맺은 스마트계약이 나에게 불리하지 않은지, 그리고 스마트 계약 결과 어떤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지 객관적으로 해석해주고 필요에 따라 요구하는 내용을 프로그램 해주는 일이 필요하다. 스마트 계약은 어떠한 권위 기관 X, 문제가 생겼다고 호소할 수 있는 중재 기관도 X 계약 당사자가 자율적으로 블록체인의 분산 시스템 상에서 계약하는 것 계약 어카..
2022.02.03 -
Javascript 코딩 스타일 공식문서 (참고용)
https://google.github.io/styleguide/jsguide.html Google JavaScript Style Guide Google JavaScript Style Guide 1 Introduction This document serves as the complete definition of Google’s coding standards for source code in the JavaScript programming language. A JavaScript source file is described as being in Google Style if and only i google.github.io 자바스크립트 코딩 스타일 개선을 위해 공식문서 참고용
2022.02.03 -
크립토좀비 1단계-6) 배열
크립토좀비 1단계-6 배열 파트를 진행하면서 구조체의 배열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다. 자바에서는 int[] newArray=new int[5]; (정적 배열 : 배열 크기가 5로 정해짐)하는 식으로 해서 배열을 생성해왔는데 솔리디티에서의 배열도 동적/정적 배열이 있다. 또한 앞에서 선언한 구조체를 이용해서 배열을 선언할 수 있다. 구조체 배열은 구조체 밖에서 선언한다. 구조체 안에서 쓰면 구조체 안에서만 쓸 수 있다. pragma solidity ^0.4.19; contract ZombieFactory { uint dnaDigits = 16; uint dnaModulus = 10 ** dnaDigits; struct Zombie { string name; uint dna; } Zombie[] pu..
2022.01.31 -
크립토좀비 1단계-5) 구조체
안녕하세요. brandy 입니다. 크립토좀비를 해보면서 오랜만에 '구조체'라는 단어를 보았는데요, 정답은 맞췄지만 구조체의 개념을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아서 해당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pragma solidity ^0.4.19; contract ZombieFactory { uint dnaDigits = 16; uint dnaModulus = 10 ** dnaDigits; struct Zombie { string name; uint dna; } } 좀비 몇 마리를 생성하기 위해 구조체 개념을 이용하였는데요, 구조체의 개념에 대해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보려고 합니다. 구조체는 주로 C/C++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구조화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합니다. 구조화 되어있다는 말은 의미가 ..
202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