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2)
-
백준 2438 - java ) 별 찍기-1
내 사고과정 별 찍기 또한 알고리즘의 고전 중에 하나이다. 별 찍기는 공백 출력, 줄바꿈, 별 출력 등 다양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 그래서 중첩 for문을 꼭 사용해주어야 한다. 또한 Scanner 클래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N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입력한 N 값 만큼 별의 줄 수를 출력한다. 별찍기나 공백 출력은 감이 왔지만,줄바꿈은 1번씩 밖에 안하는데, 줄바꿈을 표현하는 것이 조금 헷갈렸다. 실행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for(int i=1;i
2021.08.24 -
백준 11022 - java ) A+B-8
내 사고과정 아까 7번에 이어서 A+B의 8번째 버전이다. 이번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답만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연산자 (+) 문구도 같이 출력해야 하는데, 출력문에 + 를 추가해보자. 실행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for(int i=1;i
2021.08.24 -
백준 11021 - java ) A+B-7
내 사고과정 백준 내에서 A+B 시리즈는 많은 것 같다. 그중에서도 벌써 7번째라니.. A+B의 값을 출력하되 테스트 케이스 문구 Case #1 ~ #N 을 계속 출력해야 한다고 하니 중첩 for문을 사용해야 하나? 생각이 들었다. 근데 테스트 케이스 문구에서도 #1~#N까지도 ++로 for문을 돌려야 하는데..? 실행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int arr[]=new int[n]; sc.close(); for(int i=1;i
2021.08.24 -
백준 2742 - java ) 기찍N
기찍N ,,? 오타난 줄 알았는데 앞선 2741번 문제에서 반대로 출력하는거라 기찍N이라고 표현했구나 ㅋㅋㅋㅋ센스 내 사고과정 앞선 2741번에서 for문 내의 증감식에서 순서를 바꿔주면 되겠구나 ! i는 사용자가 입력한 n부터 시작해서 for문을 도는 i는 하나씩 줄어야 한다. 그리고 i는 0이 되면 안된다. 실행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sc.close(); for(int i=n;i>0;i--) { System.out.println(i); } } } 실행결과 10..
2021.08.24 -
백준 2741 - java ) N찍기
내 사고과정 - Scanner 클래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N을 입력받아서 해당되는 N의 1~N만큼 출력한다. 실행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sc.close(); for(int i=1;i
2021.08.20 -
백준 15552 - java ) 빠른 A+B
내 사고과정 어떻게 빠르게 출력 결과를 나타낸다는 거지? 감이 오지 않았다. - 백준 사이트에 올라온 Tip을 보니, 내가 이제까지 사용해왔던 Scanner 클래스, System.out.println() 보다는 BufferedReader, BufferedWriter (+BufferedWriter.flush)를 사용하는 게 좋다고 한다. BufferedReader와 BufferedWriter은 사용이 익숙하지 않아서(사용해 본 적이 없어서) 구글링을 참고하였다. 버퍼를 사용해서 읽고 쓰는 함수 버퍼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 함수를 사용하면 입출력의 효율이 좋아진다. 근데, 오히려 버퍼를 사용하는 게 더 효율성이 떨어지는 게 아닌가? 키보드에 바로 입력해서 전달하는게 더 빠를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B..
2021.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