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2)
-
Linux 생활코딩 (4) nano,apt,yum
해당 강의는 생활코딩 이고잉 님의 강의로 공부한 내용입니다. ※ 운영체제에서 파일은 저장수단이며, 디렉토리는 파일을 정리정돈하기 위한 수납공간이다. nano Linux 내에서는 글을 편집할 수 있는 Editor(편집기) 기능이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nano와 vi가 있습니다. nano는 주로 초보자, vi는 주로 중/고급자들이 사용한다고 하네요. 저도 AWS Cloud9 환경에서 nano를 사용해보았습니다. $ nano 그러면 터미널을 덮은 편집기 창이 나타나고, 그 안에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아래 보이는 키워드들은 편집기 사용할 때 필요한 것들입니다(저장,취소 등등) ^G, ^O ... 와 같이 되어있는데 여기서 ^는 ctrl키입니다. 위 화면은 nano 편집기에 코드를 간단하게 작성해보고 F..
2022.01.07 -
@ 미디어쿼리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brandy 입니다. 요즘 Web 개발 공부에 다시 매진하고 있는데, 공부하면서 미디어쿼리 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프론트엔드 분야는 남의 일이라고 생각했지만,, 풀스택으로 공부하는게 맞다고 생각하여 프론트엔드 백엔드 둘다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 반응형 웹페이지가 중요한 이유? Responsive Web Design (RWD) 우선 반응형 웹페이지는 하나의 웹사이트에서 PC,스마트폰,태블릿 PC 등 접속하는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화면의 크기가 자동으로 변하도록 만든 웹페이지 접근 기법 페이지 디자인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기 위해 가로로 스크롤하거나 핀치 또는 확대/축소하지 않고도 모든 화면 크기에서 올바르게 렌더링 될 수 있는 경우가 반응형입니다. 출처 : bradf..
2022.01.07 -
웹개발 빠른 마크업을 위한 Emmet 정리
VSCode를 이용하여 웹개발을 많이 진행합니다. 그중에서도 빠른 마크업을 위한 도구인 Emmet(에밋)이 있는데요, 저도 놓치고 있었던 부분이 있어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빠른 마크업이 중요한 이유 ? html이나 xml 같은 마크업 언어는 코드의 양이 많기 때문에 시간 단축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html에서는 emmet 같은 tool들이 개발자들이 좀 더 빠르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죠. https://docs.emmet.io/abbreviations/syntax/ 정리하기 앞서, Nesting Operato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esting Operator은 약어 요소를 생성된 트리 안에 배치하는데 사용하고, 컨텍스트 요소의 내부 또는 근처에 배치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2022.01.07 -
Linux 생활코딩 (3) --help,man,mv,sudo
해당 강의는 생활코딩 이고잉 님의 강의로 공부한 내용입니다. --help 그리고 man --help와 man 둘다 Linux 사용시 잘 모르겠는 명령어나 옵션을 보기 위해 사용합니다. --help와 man의 차이점은 창의 크기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help (터미널 안에서 보여줌 다음 명령어 사용 가능) mkdir --help 간단한 명령어의 경우 내용이 없을 수 있습니다. man (터미널 전체에서 명령어를 설명하는 창으로 덮힘. q를 눌러야 빠져나옴) --help에 비해 상세한 도움말을 많이 제공해줍니다. man mkdir ※ - 그리고 --의 차이점 한 번 짚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약어 & -- 단어 단위의 옵션 쉽게 말해 - 는 축약형이고, --는 풀네임을 써줘야 합니다. ls..
2022.01.07 -
Linux 생활코딩 (2) cd,rm,mkdir,절대/상대경로, --help
mkdir : make directory 디렉토리 만들기 리눅스에서는 다음 라인에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다는 뜻입니다. cd : change directory 현 디렉토리 위치 변경 현 위치에서 hello_linux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위해 cd 명령어를 입력하였습니다. 그랬더니 밑에 줄에 ec2-user:~ /hello_linux 디렉토리로 이동이 되었죠? touch는 해당 디렉토리 밑에 빈 파일을 생성한다는 뜻입니다. ※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절대경로는 고정된 위치입니다. 예를 들어 C:\Users\Win10\Desktop\chat2 와 같은 경로인데요, 어느 위치에서 접근하든 C밑에 Users 폴더 밑에 ~ chat2에 있다는 뜻입니다. 상대경로는 해당 디렉토리 기준에서의 up ..
2022.01.05 -
Linux 생활코딩 (1) 역사 + 간단한 명령어
안녕하세요. brandy 입니다. 오랜만에 올리는 IT 공부 관련 글이네요..! 방학 두 달 동안, Linux를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이전에 학교에서 Unix 명령어 위주로 공부하였었습니다. Unix를 공부하면서 쉘 화면에 명령어 위주로 공부하는게 그리 재밌지만은 않았지만, 그래도 A+이라는 좋은 성적을 얻었고 기회가 된다면 Linux도 공부해보고 싶었습니다. 물론 두 언어 모두 크게 본질에서 벗어나지는 않는 터라, 복습 겸 공부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 들어가기에 앞서 Unix와 Linux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결국 Linux도 Unix에서 파생되었습니다. BSD(Berkley Software Distibution)도 Unix 파생의 한 예죠. Unix는 미국 AT&T 사에서 1969년에 개발되었습니..
20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