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603 Web TIL) 시맨틱태그,EntityCode

2022. 6. 4. 01:52코딩/TIL

1.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는 이유 

- html 코드를 작성할 때 웹 브라우저가 HTML의 소스코드만 보고도 어느 부분이 제목이고 어느 부분이 메뉴이고 본문인지를 쉽게 알 수 있게 하도록 하는 지표. 

- 검색 엔진이 검색을 수행할 때에는 HTML 태그 내에 있는 태그를 분석하는데 태그들의 의미가 분명하다면 검색 엔진 입장에서 구분하기가 쉬워진다.

- 코드 가독성 및 유지보수가 쉬워진다. 모든 태그가 <div>로 되어있으면 어느 영역(헤더,바디,푸터 등)인지 알기 힘든데 시맨틱 태그를 이용하면 해당 영역에 접근하기 쉬워진다. 

>> 결국은 코드를 쉽고 편하게 읽기 위해서 시맨틱 태그를 사용한다고 하자. 

 

2. 시맨틱 태그의 종류 

<header>,<nav>:웹페이지 메뉴 만들때 사용, <main>:메인 콘텐츠를 나타내는데 사용(nav,aside,section,article 등), <article>:개별 콘텐츠 나타냄,<aside>:좌우측 사이드 부분,<footer> 등 

 

3. block과 inline의 차이 

block : 새로운 줄로 시작하며 해당 줄의 가로를 다 차지한다 -> display:block 도 있음 

inline : 태그 안의 글자 길이만큼의 영역만 화면에 표시한다. 

 

4. <div>,<span>.<p>의 차이 

<div>는 영역을 구분하는 요소로 사용되며 <span>은 옆으로 붙는다. <p>는 문자 단락을 구성한다. 

 

5. <sub>는 H₂와 같이 기준값보다 아래에 있는 숫자를 표시한다. 

수소를 표현하려면 H<sub>2</sub>로 표현해야 한다. 

 

6. Entity Code : HTML에서 특수문자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코드 

Entity Code를 왜 사용하냐면 컴퓨터가 문서를 읽어들일 때 예약문자와 문서내용을 구분하지 못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https://entitycode.com/#about-content

 

Entity Code - A Clear and Quick Reference to HTML Entities Codes

About EntityCode The idea came from my constant need to add those hard to remember HTML entity codes, such as the copyright symbol ( © ), every time I’m developing a new website or writing a new article. Usually, I either open one of my previously done

entitycode.com

 

&nbsp;도 Entity Code이며 다양한 종류가 있다. 

 

7. <nav>로 메뉴 만들때 

기본 형식 

<nav> 

    <ol> or <ul> 

        <li> ~ </li> 

        <li>~</li>  

    </ol> or </ul> 

</nav> 이런 식으로 작성. 이거는 기본 형식이니까 나머지는 더 추가하던가..해서 ! 

 

8. <div>,<article>,<section>의 차이? 

셋 다 큰 차이는 없다. 똑같은 결과물을 도출해내기 때문에 얘네들의 차이가 뭐지..하고 궁금해서 찾아보았다. 

 

article : 문서의 '독립적'인 부분. 따로 떼어놔도 의미가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존재해야 함 

그래서 웹 상의 실제 내용을 넣는다. 블로그 포스트, 웹 사이트 내용, 뉴스 기사 등.. 

section : 콘텐츠의 덩어리 

div : 영역 구분하기. 콘텐츠의 CSS를 적용하고 싶을 때 사용 

<div>만 주구장창 쓰면 이 <div>는 어떤 의미로 쓰인건지 알기가 힘들다. 하나하나 찾으면서 봐야하는데 이렇다보니 유지보수도 힘들고 하는 문제점 때문에 시맨틱 태그가 생겨났으며, 이 시맨틱 태그들을 통해 코드만 봐도 '아 이 부분이구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래서 각 영역에 맞게 <header>,<main>,<footer>로 큰 뼈대를 먼저 세워주고 

공지사항이나 FAQ 같은 부분은 <article>을 써주고, 그 외 논리적인 구분을 <section>으로 한다.

굳이 구분이 필요없고 블럭 요소가 필요하면 <div>를 써줄 것 

 

9.  ~ <time datetime="2022-06-03">June 3</time>~ 이라는 코드가 있다고 해보자.

기계 판독 가능한 포맷에서는 datetime 시맨틱 요소를 사용해야 한다. datetime도 시맨틱 요소이다. 

 

10. <figure>~</figure> : 캡션대상 지정 

<figcaption> : 캡션 설명 붙이기 

<div> 써도 되지만 일러스트나 다이어그램처럼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캡션 사용 

(+ 비디오 캡션 같은 경우는 청각 장애가 있는 시청자가 비디오 콘텐츠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외에도 실제로 비디오 효과 향상시키기 가능 등..의 이유로 비디오에 캡션을 단다)

 

 

 

 

한 줄 정리 

시맨틱태그는 신문기사를 작성하는 것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