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411 Linux)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2022. 4. 12. 00:07Linux

https://linuxhandbook.com/linux-directory-structure/

/ (루트) 최상위 디렉토리 

루트 아래의 모든 디렉토리가 루트로부터 상속을 받는다. 

 

만약 /home/user/documents에 내가 파일을 저장했다면, 이 디렉토리 구조는 root->home->user->documents로부터 전달된 것이다.

 

* 참고로 리눅스의 디렉토리 혹은 파일 시스템 구조는 윈도우와는 조금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 구분을 할 때 / (슬래시)를 이용하지만 윈도우는 \ (역슬래시)를 이용한다.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라고 부르지만, 윈도우에서는 폴더 라고 부르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리눅스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는 전체적으로 역 트리 구조를 취하고 있다. 

명령어의 종류와 성격, 사용권한 등에 따라 각각의 디렉토리들로 구분된다. 

 

 

/bin -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mv,cp,rm 등과 같은 명령어들이 이 디렉토리 안에 있으며 root 사용자와 일반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음 

 

/boot - 부트로더에 관한 파일들(gruh.conf 등)이 이 디렉토리에 존재 

 

/dev - 시스템 디바이스(device)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하드디스크 장치파일 /dev/sda, CD-ROM 장치파일 /dev/cdrom 등과 같은 장치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etc - 시스템의 거의 모든 설정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시스템 제어판용, 사용자관리, DNS 설정파일 등) 

/(/etc/rc.d/init.d/ 시스템 초기화 파일들의 실제파일 존재, /etc/samba/ 삼바관련 설정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등이 저장되어있다)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lib - 커널모듈파일과 라이브러리파일 즉, 커널이 필요로 하는 커널모듈파일들과 프로그램에 필요한 각종 라이브러리 파일들 존재 

 

/media - DVD, CD-ROM,USB 등과 같은 탈부착이 가능한 장치들의 마운트 포인트로 사용되는 디렉토리 

 

/mnt - /media 디렉토리와 비슷한 용도로 탈부착이 가능한 장치들에 대하여 일시적인 마운트 포인트로 사용하는 디렉토리 

 

/proc - 일명 가상파일시스템. 현재 메모리에 존재하는 모든 작업들이 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곳 디스크상에 실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가상파일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실제 운용상태를 정확하게 파악 가능 

 

/sbin - ifconfig,e2fsck,halt 등과 같이 시스템 관리자들이 사용하는 시스템 관리자용 명령어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tmp - 공용디렉토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 

 

/usr - 시스템이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 c++,cpp,find 등과 같이 일반사용자들용 명령어는 /usr/bin에 위치한다. 

 

/usr/bin/ -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 가능한 명령어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var -  시스템 운용 중에 생성되었다가 삭제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디렉토리 

거의 모든 시스템 로그파일들은 /var/log에 저장되고 ~ 

 

참고

https://webdir.tistory.com/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