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생활코딩 (4) nano,apt,yum

2022. 1. 7. 23:53Linux

해당 강의는 생활코딩 이고잉 님의 강의로 공부한 내용입니다.

 

 

※ 운영체제에서 파일은 저장수단이며,

디렉토리는 파일을 정리정돈하기 위한 수납공간이다.

 

 

 

nano

Linux 내에서는 글을 편집할 수 있는 Editor(편집기) 기능이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nano와 vi가 있습니다.

nano는 주로 초보자, vi는 주로 중/고급자들이 사용한다고 하네요.

 

저도 AWS Cloud9 환경에서 nano를 사용해보았습니다.

$ nano 
 

그러면 터미널을 덮은 편집기 창이 나타나고, 그 안에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아래 보이는 키워드들은 편집기 사용할 때 필요한 것들입니다(저장,취소 등등)

 

^G, ^O ... 와 같이 되어있는데 여기서 ^는 ctrl키입니다.

위 화면은 nano 편집기에 <html> 코드를 간단하게 작성해보고

File 이름을 hello.html로 작성한 모습입니다.

 

디렉토리 내에 hello.html 파일이 생성된 모습입니다.

강의에서는 cut 기능을 해서 원하는 부분만 복사해서 붙여넣는 것을 설명해주셨습니다.

 

제 컴퓨터가 이상한건지, 키보드가 이상한건지 이상하게 편집기 내에서

키보드 자판들이 잘 눌려지지 않고 반응속도가 너무 느리네요 ㅜㅜ

 

 

 

 

 

 

패키지 매니저 apt, yum

apt는 advanced package tool의 약자로, 이진 파일로부터나 소스 코드 컴파일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확인/구성/설치를 자동화함으로써 유닉스 계열 컴퓨터 시스템 상의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작업을 단순하게 만든다.

 

yum은 yellow dog update Modified의 약자로, 듀크대학교에서 RPM 설치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패키지 관리자

yum은 패키지 저장소로 수요되는 패키지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하여 설치까지 처리하면서 패키지들의 의존성을 고려하여 설치할 때 패키지 의존성에 대한 에러를 줄일 수 있다.

 

 

 

위의 apt와 yum으로 비추어보았을 때, 패키지는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뜻하며

만약 리눅스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아닌 따로 설치를 해서 써야하는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있다면? 위의 두 패키지 매니저를 이용해서 설치해줍니다.

 

 

sudo를 통해 apt-get update를 해주려고 했는데

command not found라는 에러가 출력되었습니다.

 

※ apt-get update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한 패키지들과 그 버전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X >> apt-get upgrade

설치 가능한 리스트 업데이트(최신 버전에 맞게)

 

 

구글링을 통해 해당 오류를 찾아보니, 이는 AWS Cloud9가 apt-get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AWS Linux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yum을 사용하라고 합니다.

(AWS Linux는 여러 이슈들이 많다네요 ㅠ)

 

 

 

 

apt와 yum의 차이점은

Linux는 크게 레드햇,데비안,우분투 3가지 계열로 나뉘는데 계열에 따른 패키지 관리 명령어가 다르다고 합니다.

레드햇 계열(레드햇 엔터프라이즈,페도라,centOS) yum

데비안,우분투 계열 apt-get(apt)

 

 

sudo apt-get update;

yum 사용의 경우 ) sudo yum install <패키지이름>

= sudo yum install upgrade

 

 

 

 

또 서치를 해보니,

기존 명령은 apt-get install이었다면 최근에는 apt install이라고 바뀌었네요(좀 오래됐지만)

내부동작의 차이는 없다고 합니다. apt-get보다는 apt가 더 간결하고 좋습니다.

 

apt-get update > apt update

apt-cache search(프로그램 검색) > apt search

....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지 지적 환영입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 https://programming119.tistory.com/203

https://wooono.tistory.com/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