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2)
-
크립토좀비 1단계-6) 배열
크립토좀비 1단계-6 배열 파트를 진행하면서 구조체의 배열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다. 자바에서는 int[] newArray=new int[5]; (정적 배열 : 배열 크기가 5로 정해짐)하는 식으로 해서 배열을 생성해왔는데 솔리디티에서의 배열도 동적/정적 배열이 있다. 또한 앞에서 선언한 구조체를 이용해서 배열을 선언할 수 있다. 구조체 배열은 구조체 밖에서 선언한다. 구조체 안에서 쓰면 구조체 안에서만 쓸 수 있다. pragma solidity ^0.4.19; contract ZombieFactory { uint dnaDigits = 16; uint dnaModulus = 10 ** dnaDigits; struct Zombie { string name; uint dna; } Zombie[] pu..
2022.01.31 -
크립토좀비 1단계-5) 구조체
안녕하세요. brandy 입니다. 크립토좀비를 해보면서 오랜만에 '구조체'라는 단어를 보았는데요, 정답은 맞췄지만 구조체의 개념을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아서 해당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pragma solidity ^0.4.19; contract ZombieFactory { uint dnaDigits = 16; uint dnaModulus = 10 ** dnaDigits; struct Zombie { string name; uint dna; } } 좀비 몇 마리를 생성하기 위해 구조체 개념을 이용하였는데요, 구조체의 개념에 대해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보려고 합니다. 구조체는 주로 C/C++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구조화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합니다. 구조화 되어있다는 말은 의미가 ..
202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