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생활코딩 - I/O Redirection(2)
잊고 있었던 내용 ) touch 파일이름 - touch가 파일을 만드는 명령어이다
cat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받음
standard input(stdin) : 키보드 , stdout 모니터 stderr 에러
1. cat > hello.txt
> (리다이렉션)하면 cat의 내용을 hello.txt에 저장
2. $cat만 입력했을 경우
내가 입력한 값이 한번 더 출력된다. 왜냐하면 cat 명령어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받기 때문이다.
내가 입력한 것이 hi,catt인데 $cat에 의해 한번씩 더 출력되었다.
3. ls -al > result2.txt 하면 ls -al의 내용이 result2.txt로 입력된다.
그러나 ls -al >> result2.txt 하게 되면 ls -al의 내용이 2번이나 들어가게 된다.
4. head linux.txt
head는 긴 문장의 내용이 있을 경우 앞쪽의 몇 문장만 출력한다.
head -n1 linux.txt는 -n1은 1줄만 출력하겠다라는 의미이다.
> (리다이렉션)은 stdin이다.
5. I/O Stream인 이유는 데이터가 들어와서(stdin) 흘러나온다 (stdout)이 되기 때문에 스트림(개울,냇가)와 같은 단어가 붙은 것이다.
6. append는 실행결과를 덧붙인다.
>> (실행결과 2번 붙임), >>> (실행결과 3번 붙임)
7. cat <<EOF
End Of File의 약자
직접 입력한 텍스트를 파일에 저장할 때 주로 사용하는 키워드
시작 및 종료를 알리는 키워드로 EOT,EOF를 많이 쓰는데 임의로 정하는 것이므로 다른 것 (AAA,HELLO)도 가능하다.
$ cat << EOF > file1.txt
출처 https://zetawiki.com/wiki/%EB%A6%AC%EB%88%85%EC%8A%A4_cat_%E2%89%AA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