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으로 자료형 확인하기 + 객체 개념
2021. 8. 31. 17:01ㆍ코딩/Python
우선 JAVA 위주로 공부하다가 Python도 함께 공부하니 둘 다 객체지향 언어(Class 사용)라는 점에서 닮은 점이 많았다.
class Coffee :
pass
print(type(3), ":3")
print(type(4), ":4")
print(type(3.14), ":3.14")
print(type(3.15),"3.15")
print(type(True),":True")
print(type(False),":False")
print(type("Hello"),":Hello")
print(type([1,2,3,4]),": [1,2,3,4]")
print(type(Coffee()), ":Coffee()")
print(type(Coffee), ":Coffee")
실행 결과
<class 'int'> :3
<class 'int'> :4
<class 'float'> :3.14
<class 'float'> 3.15
<class 'bool'> :True
<class 'bool'> :False
<class 'str'> :Hello
<class 'list'> : [1,2,3,4]
<class '__main__.Coffee'> :Coffee()
<class 'type'> :Coffee
정수형이나 실수형 타입에서는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Coffee()와 Coffee를 구분한다는 것이 조금 생소했다.
print(type(Coffee()), ": Coffee()")
Coffee 객체의 자료 형을 출력하라는 문장이다. Coffee()의 자료형은 __main__.Coffee 클래스이다.
__main__ 파일에 정의된 Coffee 종류 또는 Coffee 형이라는 의미.
Coffee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할 때는 Coffee()와 같이 표현한다.
print(type(Coffee), ":Coffee")
Coffee의 자료형은 자료형 클래스이다. 자료형의 종류라는 말. 여기서 자료형의 종류는 Coffee 이다.
자료형 클래스는 객체를 만들 수 있는 틀.
'코딩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GUI 프로그래밍 - tkinter (0) | 2021.12.14 |
---|---|
파이썬을 사용하면서 궁금했던 점 1탄 (0) | 2021.09.01 |
둘 이상의 함수 반환 값 (0) | 2021.08.31 |
커피 타는 프로그램 작성해 보기 (0) | 2021.08.31 |
time.sleep()으로 코드 출력 천천히 하기 (0) | 2021.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