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TIL) 블록 구조,SHA256
2022. 6. 9. 00:48ㆍBlockChain
1. 블록체인은 레코드(SQL에서 행,튜플)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갖고 있다.
이전 해시
해시 : 블록의 지문 (이전 해시를 이용해 데이터를 표현하는 숫자. 64길이)
해시값을 통해 블록들이 암호화 링크로 연결되어있다.
2. SHA256 : 길이 64 (256 bit)
0~9,A,B,C,D,E,F 문자가 올 수 있다 (16진법 해시이기 때문)
텍스트 문서뿐만 아니라 어떤 디지털 문서에도 적용 가능
블록체인 해시, 토큰 등 연습 사이트
https://tools.superdatascience.com/blockchain/hash
Tools - SuperDataScience
tools.superdatascience.com
3. 해싱 알고리즘 조건
-단방향 (암호>복호는 가능하지만 복호>암호는 불가능)
-결정적(동일한 문서를 해싱 알고리즘에 적용하면 똑같은 해시값을 얻어야 한다)
-연산이 빨라야 한다
-쇄도 효과(Avalanche Effect) 동일한 문서에다가 아주 작은 변형. 즉 1비트에 변형을 가했을 때 아주 작은 변형이라도 해시 값이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의 해시값은 완전하비게 다르게 나온다)
-충돌 저항성(비둘기집 원리. A가 슬롯 B의 개수보다 많으면 충돌 발생. B보다 훨씬 큰 A를 B로 옮기면 충돌이 생기고 ~ ..하는데 가능성은 적다.)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TIL) Truffle,Ganache를 React에 연동하기 + React 오류 해결 (0) | 2022.06.09 |
---|---|
블록체인 220520 TIL) createNewBlock(),createNewTransaction() (0) | 2022.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