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5. 19. 00:31ㆍWeb/Javascript
* 해당 강의는 Udemy의 React 완벽 가이드를 수강하고 작성한 TIL 입니다.
외국 강의이지만, 자막 설명은 물론 설명이 너무 잘 되어있어서 복기하기에 좋은 강의입니다 :)
1. let과 const의 차이점
let은 값을 수정할 수 있지만 const는 값을 수정할 수 없다. 그리고 JS에서는 대부분 const를 사용한다
const는 값이 변하지 않는 상수 변수이다.
var을 사용하면 값이 바뀐 그대로 나온다.
var 부분을 let 으로 변경하여도 brandy 그리고 jeonghoon이 출력된다.
그런데 여기서 let > const로 변경하면 어떻게 될까?
TypeError가 발생한다. 상수 변수에다 값을 재할당(brandy > jeonghoon)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즉, const는 새로운 값을 할당할 수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2. 화살표 함수
일반 함수 형식
function myFnc() {
...
}
화살표 함수 형식
const myFnc = () => {
....
}
() 안에는 인수가 들어간다. function을 생략하기 때문에 일반 함수 형식보다 간결하다.
JS에서 갖고 있었던 키워드 this로 인해 생겼던 문제 해결. 우리가 항상 원하는 객체를 참조하는 것은 아니다.
인수가 하나라면 괄호 생략 가능 = (name)이 아닌 name으로도 가능 (인수가 하나일때만 가능!!!)
만약 인수가 없다면 () 빈 괄호로 냅둬야 한다.
3. 중괄호,return 생략 case
중괄호 생략
이때 return을 삭제해야 한다. 인수가 한 개인 경우 둘러싼 괄호를 제거해서 더 짧게 줄일 수 있다.
'Web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p() 함수에 대해서 (아직 헷갈려!) (0) | 2022.04.08 |
---|---|
Javascript 코딩 스타일 공식문서 (참고용) (0) | 2022.02.03 |